2010년 11월 10일 수요일

puppy를 usb로 부팅하는 경우, 사용자 저장 파일의 크기로 인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가 제한받는 경우

puppy를 hdd에 직접 인스톨하지 않고, usb에 설치한 후 사용하게 되면,

puppy를 시작하면서 usb에 있는 저장 파일을 읽어 메모리에 로드하고,

puppy를 종료하면서 usb에 사용환경을 저장한다. 그런데, 저장파일의 크기가 작거나

설치한 파일들이 많은 경우,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바탕화면에 표시된다.



또는 화면 하단의 인터넷 옆의 메모리 상태가 붉은 색으로 표시되면서 메모리 부족을 알린다.



이 경우, Menu>Utility>Resize personal storage file 을 실행시키면

저장파일의 크기를 늘릴 수 있다.



명령을 실행시킨 후, 반드시 컴퓨터를 Reboot해야

부팅과정에서 저장파일의 크기를 늘린다.

다음은 부팅과정에서 개인 저장 파일의 크기를 변경하는 과정이다.

puppy 5.x에서부터 개인 저장 파일을 ext2 뿐만 아니라 ext3도 지원하는데, 다음 화면에서 보이는

것은 ext3로 저장된 개인 저장 파일을 256M 증가시키는 과정이다.

puppy에서 임베디드 리눅스 target 보드를 연결하고자 하는데, eth0가 잡히지 않을때..

puppy가 설치된 호스트와 embedded linux가 설치된 target을 네트워크을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하고자 할 때에는, 호스트의 puppy에는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두개 잡혀야 한다.

일반적으로 wireless와 wired 두개의 네트워크를 잡는데, 어떤 영문인지 하나만 잡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Load module을 선택한 후, 현재 로드되지 않은 네트워크 모듈을 선택하면 시스템에 설치된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Marvell Yukon 2 드라이버는 sky2로 잡히지 않고, skge로 잡힌다. (특정 보드만 그럴 수 있다.)

따라서 Marvell Yukon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경우, sky2와 skge 모두를 선택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