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2월 17일 수요일

HDD에 ELDK 설치하기

설치할 HDD 공간 확인하기

  • 파일 시스템이 리눅스 (ext2, ext3) 인 경우
  • 공간이 약 600M (여유있게 하려면 1G 정도) 이상 있는지 확인한다.
  • USB에서 Puppy로 부팅한 경우
  • 아마도 지급된 용량이 2G정도 이기 때문에 설치하기에는 공간이 턱없이 부족함
  • Windows 컴퓨터의 D 드라이브 (아마도 바탕화면에 sda5 라고 표시되었을 것)


    • sda5.png


  • sda5를 한번 클릭하면 Mount, 다시 한번 더 클릭하면 Umount 됨


ELDK 설치


  • [첫번째 방법] 그냥 ntfs에다 설치하려면
  • 윈도우로 부팅하였을 경우,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구조가 다 보임
  • 모든 파일이 실행 가능한 플래그가 할당됨
  • cd /mnt/sr0 { ppc-2005-03-07.iso 를 구운 CD를 삽입하면 자동으로 마운트 됨 }
  • ./install -d /mnt/sda5/ELDK ppc_8xx

  • [두번째 방법] 윈도우 드라이브에 가상 파일을 만들고 마운트 하여 사용
  • 윈도우 드라이브에 가상 파일을 만들고, 그 가상 파일을 마운트하여 사용 { ramdisk에서 아이디어 가져옴 }

    • 윈도우 드라이브에 HDD에 1G의 공간을 할당

      • dd if=/dev/zero of=/mnt/sda5/ELDK bs=1k count=1024000
    • 파일 시스템 생성

      • mke2fs -vm0 /mnt/sda5/ELDK 1024000
      • 일반 파일을 파일 시스템으로 만들건데 괜찮냐? 하고 물어봄 (당연히 괜찮지...)

    •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

      • mkdir /opt/ELDK
    • 파일 시스템 마운트

      • mount -o loop /mnt/sda5/ELDK /opt/ELDK

    • ELDK 설치

      • cd /mnt/sr0
      • ./install -d /opt/ELDK ppc_8xx
    • 장점

      • 윈도우즈 디렉토리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opt/ELDK 를 사용할 수 있다.
      • 파일들의 attribute (속성)이 보존된다.
      • /opt/ELDK 하부의 ppc_8xx를 nfs로 export 할 수 있다.

    • 부팅시 자동으로 /opt/ELDK가 마운트 되도록 하길 원한다면

      • /etc/fstab에 다음 두 줄을 추가하면 된다.
      • /dev/sda5 /mnt/sda5 auto rw 1 1
        /mnt/sda5/ELDK /opt/ELDK auto rw,loop 2 2


MPC850보드의 시동 환경 조성하기


  • nfs 서버가 설치되었다면, MPC 850 보드의 시동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ELDK의 파일들을 복사한다.
  • cd {ELDK설치 디렉토리}/ppc_8xx/images
  • gunzip ramdisk_image.gz
  • mount -o loop ramdisk_image /mnt/data
  • cp -a /mnt/data/* /initrd/mnt/dev_save/nfs {exports에서 설정한 nfs 디렉토리}


댓글 없음:

댓글 쓰기